돌곰별곰TV
본 발성법 게시판의 모든 자료는 개인 견해들로 참고자료로만! 이민우님이 올려주신 성악발성과 가창기법 4 구강 모든 소리는 구강으로 통한다. 구강의 소리가 없으면 비음이 된다. 구강의 소리가 없으면 발음이 정확하지 않다. 구강의 소리만으로는 화려함이 없다. 구강의 소리만으로는 플랫음 현상이 나타난다 구강의소리만으로는 고음을 낼 수 없다. 치아 노래에 치아의 느낌이 들어 있어야 한다. 치아의 입안 쪽이 아니라 치아의 하면(下面)이나 바깥 속에 소리의본질이 있다. 치아는 구강발성에서 비강, 안강, 상악동, 전두동발성에로 진행하는 첫 번째 관문이다. 혀 혀는 노래하는 중에 대체로 의식해서는 안된다. 혀에 힘이 부여되면, 혀뿌리가 긴장하게 되고, 위로 치켜져 기도를 막아주는 현상이 나타나 고음역에 오히려 저해요소..
본 발성법 게시판의 모든 자료는 개인 견해들로 참고자료로만! 이민우님이 올려주신 성악발성과 가창기법 3 노래의 그림을 설정하라(이미지 가창) 노래를 할 때는 첫째, 선의 움직임과 움직임을 통한 아름다움을 표현해야 한다. 노래에서의 선의 움직임이란 상행과 하행의 가락의 외적인 선율형태를 의미하며, 더 나아가서는 악곡의 움직임을 가리킨다. 선율의 움직임의 표현은 음악에 내재된 의미를 표현하는 수단이 된다. 즉 움직임이 없는 음악, 율동이 없는 음악은 단지 소리일 뿐이다. 생명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악곡의 선을 표현하는 것에 최선을 기우려야한다. 이것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손을 이용해서 표현하거나 몸의 움직임을 이용하거나 머리를 움직여 표현한다거나 눈을 이용한다거나 눈을 크게 뜨거나 이마를 위..
본 발성법 게시판의 모든 자료는 개인 견해들로 참고자료로만! 이민우님이 올려주신 성악발성과 가창기법 2 공명기관 머리의 앞 쪽에서 노래한다. 흠밍의 위치를 간파할 수 알아야 한다. 입안에서 우물거리지 않는다. 비강을 울려 노래한다. 비강과 비음을 혼돈하지 않아야 한다. 비강은 인두강의 울림이 느껴지는 첨단부이고 비음은 마치 감기가 들어 코가 막힌 목소리다.노래하면서 이러소리로 노래할 경우 목소리가 작고 힘이 없다. 단 비강을 이해하지 못하는 초보자들에게 비음을 가르치다 보면 비강을 이해하는 경우도 있다. 분명한 것은 가창에서의 비음은 가창자의 최대의 적이다. 전두동, 안강, 비강은 노래의 초점이다. 전두동, 안강, 비강은 가창자의 스피커다. 공명의 기둥을 이해하라 공명의 위치는 명확하게는 인두강이다 즉,..